IgnatiusHeo
Hyperledger Fabric Certified Practitioner (HFCP) 합격 후기 본문
작성일: 240803
23년 상반기 회고 당시 블록체인 관련 자격증으로 CHFA(Certified Hyperledger Fabric Administrator)를 취득하려 했다.
근데 이게 웬걸? CHFA, CHFD 자격이 없어져 취득할만한 블록체인 관련 자격이 뭐가 있나 찾아봤다.
국내나 해외에 블록체인 관련 자격이 다수 있으나.. 발급처의 신뢰도나 평판을 생각해볼땐 리눅스 재단에서 운영하는 자격이 제일 좋아보여 이걸 취득하기로 했다.
* 링크: https://training.linuxfoundation.org/certification/hyperledger-fabric-certified-practitioner-hfcp/
Hyperledger Fabric Certified Practitioner (HFCP) Exam
The Hyperledger Fabric Certified Practitioner exam allows candidates to demonstrate understanding of the fundamentals of blockchain tech.
training.linuxfoundation.org
이 시험은 1시간 30분동안 60문제를 풀어야 하고, 커트라인은 75점이다.
- 문제당 1.5분, 최소 45문제를 맞춰야 한다. 꽤 까다롭지만 탈락하면 1번은 재시험 기회를 준다.
* 사실 Certified Smart Contract Auditor나 Certified Blockchain Security Professional이라고 Blockchain council에서 운영하는 이런 자격증도 있는데 공부 1도 안하고 응시해서 합격했다..그래서 이건 링크드인에 안올렸다..
ㅇ 시험 범위
HFCP의 범위는 Hyperledger Fabric v2.5의 모든 걸 본다.
패브릭 개념이 50%정도, 실무와 관련된 내용이 50% 비율로 출제된 것 같다.
직접 패브릭을 설계-구축-운영해보고 이슈대응을 해본 사람이라면 익숙한 문제들이 종종 나온다.
* 예를 들면.. 인증서 디폴트 유효기간, 체인코드 배포 순서, 클라이언트 SDK 명령어, 쿼리 시 주의해야 할 내용 등 실무자가 삽질하면서 겪었던 문제들이 나온다.
ㅇ 루틴(1주일)
공부 방법은 이렇다할 후기가 없어 v2.5 기준으로 네트워크 구축해봤던 자료랑,, fabric docs 틈틈이 읽어봤다.
* 링크: https://hyperledger-fabric.readthedocs.io/en/release-2.5/index.html
* 출제범위에 해당하는 내용들을 docs에서 찾아서 매핑했고, 스크래핑해서 읽었다.
* 먼저 패브릭에서 이벤트/트랜잭션/체인코드/블록이 어떤 절차대로 처리되는지 먼저 공부한 이후 패브릭 네트워크를 설계, 구축, 운영하는 순서로 공부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ㅇ 시험 후기
이 시험은 1. 온라인으로 내가 원하는 시간을 정해서 시험 가능 (시간 슬롯도 매우 널널함) , 2. 탈락 시 재시험 1회 가능 이라는 장점이 있어 시험에 대한 부담감이 덜했다.
난 토요일 저녁 8시 30분에 시험을 예약했고, 8시에 체크인을 했다.
- 체크인
시험 시작 30분 전부터 체크인(시험 준비)이 가능하며 이때, 시험 감독관이 시험 환경을 확인한다.
* 시험 환경 확인을 위해 캠으로 주변을 쭉~ 스캔한다. 마이크도 항시 켜있어야 한다.
* 듀얼모니터는 사용 불가하며 책상 위/아래/옆 모두 키보드, 마우스, 물을 제외하고 아무것도 있으면 안된다. 심지어 귀에 뭐 꼈는지도 본다.. 덕분에 집청소했다.
- 시험
1 요즘엔 패브릭보다 베수를 많이 다루다 보니,, 문제 풀면서... 와 이거 다까먹었는데... 이게 시험에 나오네.. 싶은 문제가 많이 나왔다. 기억력 싸움이었다.
ex) 체인코드가 지원하는 언어 / 모니터링(grafana 등) / 게이트웨이 API 메소드별 특징(evaluate, submit, query 등) / 개인정보를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 / levelDB로 설계시 스키마 유형 / couchDB 어떻게 해야 쿼리성능 고도화 하는지 등 진짜 별게 다나왔다.
2 패브릭 독스에서도 문제가 꽤 많이 출제됐고, 이전 버전들에 비해 2.5에서 주로 변경된 점이 무엇인지 묻는 문제가 좀 나왔다.
3 PDC, Offline sig, endorsement policy(state-based 포함) 문제가 꽤 많이 나왔다.
4 이벤트가 원장에 저장되기까지의 순서에서(proposal, endorse, order, commit 등) 각 주체들이 하는 역할과 내용을 충분히 숙지해야 한다.
* 꽤 많이 나왔음. (ex. 피어가 트랜잭션 받아서 뭐함? 이라는 문제가 나오는데, 한글로는 너무 쉽지만 막상 영어로 풀면 진짜 헷갈린다. )
ㅇ 자격증
시험이 끝나면 자동으로 psi 브라우저가 종료되고, 종료된 즉시 응시 메일주소로 메일이 4통 온다.
* 별건 없고 시험봐줘서 고맙다, 니 시험 결과가 뭐다, 자격 취득해서 축하한다, 뱃지준다 이렇게 옴.
LF에서 HFCP와 유사하게 HBCP를 만들려는 것 같다(이건 Hyperledger Besu).
블록체인 관련 자격은 저것까지만 취득하고 그만 따야겠다.
끝.